🌐 줌(Zoom)이란?
줌(Zoom)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화상회의·영상통화 플랫폼입니다.
원래는 기업 회의나 원격 수업을 위해 개발되었지만, 지금은 가족 모임, 친구들과의 대화, 취미 모임, 온라인 강좌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.
특히 코로나19 이후 시니어 세대에게 줌은 멀리 있는 가족과 얼굴을 보며 대화할 수 있는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.
2025년 현재 줌은 PC·스마트폰·태블릿 어디서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, 한글화가 잘 되어 있어 사용이 점점 더 쉬워졌습니다.
① 줌 설치와 가입하기 🛠️
줌을 사용하려면 먼저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.
PC(노트북/데스크탑)
-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“Zoom 다운로드” 검색 → 공식 홈페이지(zoom.us) 접속
- 설치 파일 다운로드 → 실행 후 설치 완료
- 바탕화면에 “Zoom” 아이콘 생성
스마트폰·태블릿
- 안드로이드: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“Zoom” 검색
- 아이폰/아이패드: 앱스토어에서 “Zoom One Meetings” 다운로드
- 설치 후 홈 화면에서 바로 실행 가능
회원가입 & 로그인
- 이메일, 구글, 카카오, 네이버 등 계정으로 간단히 가입
- 프로필 사진·이름 등록 → 가족이 알아보기 쉽게 설정
👉 팁: 굳이 계정을 만들지 않아도 초대 링크만 누르면 회의 참가가 가능합니다. 계정이 있으면 더 편리하지만, 시니어분들은 “링크만 누르면 된다”는 점을 기억하면 부담이 줄어듭니다.
② 가족과 화상통화 시작하기 📞
줌에서 가족과 연결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.
내가 회의를 열 때
- 줌 앱 실행 → “새 회의” 버튼 클릭
- 카메라 켜기 여부 선택
- 참가자 초대 → 이메일, 카톡, 문자로 링크 발송
- 가족은 링크를 누르면 바로 접속 가능
가족이 보낸 링크로 들어갈 때
- 카톡·문자·이메일로 받은 초대 링크 클릭
- 줌 앱이 자동 실행 → 회의실로 연결
- 비밀번호가 있다면 입력 후 입장
👉 시니어분들에게 가장 편리한 방법은 가족이 초대 링크를 보내주는 것입니다. 단순히 링크를 클릭하기만 하면 되니 기억하기 쉽습니다.
③ 화면·마이크 설정하기 🎙️
영상통화에서 가장 중요한 건 내 얼굴이 보이고, 목소리가 잘 들리는 것입니다.
- 📷 카메라: 하단의 “비디오 시작/중지” 버튼으로 켜고 끄기
- 🎤 마이크: 하단의 “음소거/해제” 버튼으로 조절
- 🔊 음량: 스마트폰·노트북의 볼륨 키로 조정
- ⚙️ 배경 설정: 집이 정돈되지 않았다면 “가상 배경”으로 깔끔하게 처리 가능
👉 팁: 통화가 잘 안 들릴 때는 이어폰·헤드셋을 사용하세요. 잡음이 줄고 더 선명합니다.
④ 가족 모임에서 유용한 기능 💡
줌은 단순 영상통화 이상의 기능을 제공합니다.
- 👨👩👧 갤러리 보기: 화면을 여러 칸으로 나누어 가족 모두를 동시에 볼 수 있음
- 📑 채팅 기능: 말소리가 잘 안 들릴 때 글자로 메시지 전달
- 📸 화면 공유: 여행 사진, 아이 성장 동영상 등을 함께 볼 수 있음
- ⏰ 예약 회의: 미리 날짜·시간을 설정해 정기 가족 모임으로 활용
예: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가족 회의를 예약 → 매번 링크를 새로 보낼 필요 없이 고정된 시간에 자동 실행됩니다.
⑤ 시니어 맞춤 사용 팁 🙌
- 큰 글씨 모드: 스마트폰 설정 → 접근성 → 글씨 크기 확대
- 자동 로그인: 앱 실행 시 비밀번호 없이 바로 접속하도록 저장
- 조명 위치: 창문 앞이나 조명을 얼굴 쪽에 두면 화면이 밝아짐
- 배터리 관리: 장시간 통화 전에는 반드시 충전기에 연결
- 인터넷 환경: Wi-Fi 안정적인 장소에서 사용 (데이터 요금 절약)
⑥ 가족이 자주 묻는 질문 & 해결법 ❌
- “소리가 안 들려요” → 마이크 버튼 눌러 ‘음소거 해제’ 확인
- “내 얼굴이 안 보여요” → 비디오 시작 버튼 클릭
- “초대 링크가 안 열려요” → 줌 앱 설치 후 다시 클릭
- “화면이 끊겨요” → 와이파이 신호 좋은 방으로 이동
👉 자주 발생하는 문제는 대부분 버튼 하나 확인으로 해결됩니다.
⑦ 줌으로 즐길 수 있는 가족 활동 🎉
줌은 단순히 대화하는 용도를 넘어 온라인 가족 놀이·활동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- 🧩 퀴즈 게임: 할아버지가 손주에게 역사 문제 내기, 손주는 최신 연예인 맞히기
- 🍳 요리 교실: 각자 주방에서 요리하며 결과물 자랑
- 📖 책 읽어주기: 할머니가 동화를 읽어주면 아이들이 화면으로 듣기
- 🎂 생일 파티: 촛불 켜고 노래 부르며 함께 축하
👉 이렇게 활용하면 단순한 대화 이상의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습니다.
⑧ 2025년 기준 새로운 기능 📅
줌은 매년 업데이트로 기능을 개선합니다. 2025년 현재 눈여겨볼 만한 기능은:
- 자막 자동 생성(한국어 지원): 난청이 있는 시니어도 대화 내용을 글자로 확인 가능
- AI 배경 보정: 집 배경이 어두워도 자동으로 밝게 조정
- 보안 강화: 초대 링크 보안성이 높아져 해킹 위험이 크게 줄어듦
📌 결론
줌(Zoom)은 시니어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족 소통 도구입니다.
설치 → 링크 클릭 → 카메라·마이크 확인 → 대화 시작 이 네 단계만 익히면 충분합니다.
멀리 떨어져 있어도 손주 얼굴을 보고 웃고, 자녀와 일상을 나누며, 가족 행사를 함께 즐기는 방법은 이제 간단해졌습니다.
줌을 활용해 가족과 더 자주, 더 가깝게 연결되시길 바랍니다. 🌿